본문으로 바로가기

AIFrenz - 사회학

category 메모 2019. 6. 19. 19:51

KISTI 윤진혁

Contribution inequality in crowdsourced knowledge:

the case of Wikipedia

 

nature

human behavior

 

통계물리학 : 미시적(micro)성질 -> 상호작용(interactions) -> 거시적(macro) 성질

 

 

wikipedia 

: 1. 13% 이하의 Academic 오류? 네이처 등 해외저널에서도 공식 참고자료로 어느 순간부터 인정해주기 시작함

2. 대백과사전보다 낮은 오타

3. 룰이 엄밀히는 없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으로 사람들이 지식을 쌓아가는 룰을 따르기 시작함

 

 

::Key ingredients of the new model

Long-term decay of interest

short-term stimulation of interest

Attachment

 

data bias ->  professor를 검색하면 남자, teacher를 검색하면 여자가 더 많이 나오고. doctor를 검색하면 남자 nurse를 검색하면 여자가 많이 나오는 것. 단어 자체에  bias가 없는데도 성별에 치우친 결과같은 어떤 치우친 결과가 나오는 것.

Women are considerable less likely than men to be have an article on Wikipedia across all levels of achievement.

위키백과에서도 활동하는 사람들을 분류해보자면

World of white, formally educated, 30-50 ages old "Males".

즉 위키백과의 데이터 역시 bias가 존재한다는 것.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156152025857385&set=gm.846327105723777&type=3&theater&ifg=1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el Save  (0) 2019.10.02
한화 불꽃로드  (0) 2019.07.03
AIFrenz - 지능형Edge  (0) 2019.05.29
AI프렌즈-TOMOCUBE  (0) 2019.05.22
AI프렌즈 세미나 - GIT(깃)  (0) 2019.05.15